퇴직연금(IRP)을 자신이 직접 운용하는 분들은 30%에 해당하는 안전자산을 어디에 투자하면 좋은지 고민이 많아집니다.
그렇다고 은행 정기예금 수준에 만족하는 분들도 있겠지만, 보다 적극적으로 운용하면서 2024년 연초에 큰 화두로 떠오른 인공지능, 특히 엔비디아에 투자할 수 있는 ETF가 있습니다.
바로 ACE 엔비디아채권혼합블룸버그(448540)입니다. 엔비디아를 필두로 시대의 트렌드로 떠오른 인공지능 분야에 한 발을 담글 수 있는 안전자산이라는 점에서 장점이 있겠습니다.
#ACE 엔비디아채권혼합블룸버그는?
ACE는 한국투자신탁운용이 만든 ETF 맨 앞에 붙는 브랜드명입니다. 이 종목은 2022년 11월 29일에 상장된 해외혼합형 ETF로 이른바 역사는 상대적으로 짧다고 하겠습니다.
구성 종목은 심플하게 엔비디아(NVIDIA)에 30%, 국내 채권에 70% 비중으로 구성된 'Bloomberg Blended Nvidia Equity and Koran Bond Total Return Index'를 기초 지수로 해서 수익률을 추종하고 있습니다.
다음은 한국투자신탁운용에서 소개하는 구성 종목 비중을 소개합니다.
#엔비디아채권ETF의 순자산과 수익률은?
2024년 2월 말 현재 ACE엔비디아채권혼합블룸버그의 순자산(AUM)은 823억 원입니다. ETF 최고는 상장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았고 2023년 연말까지도 순자산이 많지는 않았으나, 24년 1~2월 사이에 규모가 커진 것으로 보입니다.
수익률은 상장이후 75.05%, 1년 52.16%, 6개월 21.20%, 3개월 19.44%, 1개월 8.45%로 확인됩니다.
채권혼합형 ETF가 이렇게 수익률이 높은 이유는 엔비디아라는 개별 종목의 성과가 워낙 좋았던 데 따른 영향이라고 보겠습니다. 미국 현지에서도 엔비디아의 급상승에 대해서 갑론을박이 있지만, 전체적으로 AI 성장세를 긍정적으로 전망하시는 분들이라면 눈길이 가는 종목입니다.
또한 엔비디아가 일시적인 업 앤 다운은 있겠지만, 어차피 AI 시장에 모든 빅테크들이 투자를 집중하고 있는 데다가 퇴직연금은 만 55세 이후 수령할 수 있는 상품이기 때문에 AI 분양의 전망이 밝다면 투자해 볼 만한 ETF라는 개인적인 판단이 조심스럽게 듭니다.
#투자 시 참고, 유의할 점은?
엔비디아채권 ETF는 안전자산에 편입되는 ETF임에도 이례적으로 공격적 위험 자산에 해당할 만큼의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. 이는 단기적인 개별 종목의 성과 때문에 일반적인 현상은 아니라는 점을 명확하고 냉정하게 해하시고 투자하시는 게 좋습니다.
다만 IRP의 안전자산 30%를 그냥 원금을 지키는 수준에서 투자하는 것은 너무 소극적이라고 생각하는 분들, 개별 종목 1개에 투자하지만 채권혼합형이어서 개별 종목 성과가 좋지 않을 때도 어느 정도 방어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분들, 장기적으로는 인공지능(AI) 분야의 성장성을 밝게 보시는 분들에게는 매력적인 종목임에는 틀림이 없는 것 같습니다.
'미국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팔란티어(PLTR)는 어떤 회사인가? (0) | 2025.03.03 |
---|---|
해외자산 기초 국내 ETF, 일반계좌 거래시 주의점 (10) | 2024.09.13 |
미국주식 배당세 환급, 재징수 금액이란? (0) | 2021.12.24 |
테슬라, 경이롭고 경이로운 3분기 실적에 '천슬라' 목표가 줄상향 (0) | 2021.10.22 |
테슬라 투자자에게 스페이스 X 우주여행 성공의 진짜 의미 (0) | 2021.09.19 |